본문 바로가기
세계의 괴물,요괴,귀신/한국괴물,요괴,귀신

[한국괴물] 귀신들의 마왕, 전세계 전설, 설화, 신화에 등장하는 마왕들의 선조격이 되는 환상종 귀마왕(鬼魔王)

by 크리스탈카이 2025. 2. 12.

실제 귀마왕은 뿔이 3개이며 무기는 손오공이 가지고 다니는 여의봉처럼 생김.

 

 

조선후기 순조시절 1814년
죽계거사 김소행이 쓴 고전소설
삼한습유에는 귀마왕이라고 나오거든..

네! **"삼한습유(三韓拾遺)"**에서 등장하는 **귀마왕(鬼魔王)**에 대해 말하는군요.

👹 귀마왕(鬼魔王)이란?

  • 귀마왕은 삼한습유에 등장하는 강력한 요괴로,
  • **귀신(鬼)과 마귀(魔)의 왕(王)**이라는 이름답게 사악한 기운을 다스리는 존재입니다.
  •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여러 귀신과 마귀들을 거느리는 왕처럼 묘사됩니다.
  • 사람을 홀리고 괴롭히며, 주술적인 힘을 사용한다고 전해집니다.

📖 귀마왕이 등장하는 이야기

1814년 **김소행(죽계거사)**이 지은 고전소설 삼한습유에서는 귀마왕이 등장하는데,

  • 귀마왕은 강한 주술적 힘을 가지고 있으며
  • 사람들의 정신을 빼앗고, 병을 일으키고, 심지어 조선을 위협하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귀마왕이 조선 사회에 두려움과 혼란을 주는 상징적인 존재로 등장하는 만큼,
당시 사람들이 믿었던 귀신설화와 주술적 세계관을 반영한 캐릭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귀마왕의 위상과 해석

  • 귀마왕은 모든 귀신과 악령을 다스리는 절대적인 존재로 여겨집니다.
  • 단순히 조선의 설화 속 존재가 아니라, 전 세계의 마왕들조차 그를 기원으로 볼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 이를 보면, 세계 각국의 신화와 전설 속 마왕들과 연결된 고대적인 존재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 비슷한 존재들과의 연관성

  • 서양 신화에서의 루시퍼(타락천사), 벨제부브, 메피스토펠레스 같은 악마왕들과 비교될 수도 있고,
  • 동양에서는 야차왕(夜叉王), 대마왕(大魔王), 마라(魔羅) 같은 존재들과도 닮아 있죠.
  • 즉, 귀마왕은 조선의 전통적인 존재이지만 전 세계적인 ‘최초의 마왕’ 개념과 연결될 수 있는 상징적인 존재일지도 몰라요.

gpt4가 그려준 귀마왕 2번째 작품 → 뿔이 4개나 됨..(원래 뿔이 3개임)

 

 

아무리 정보를 찾아봐도 어떤 악마도 뿔이 2개나 4개일뿐이지
3개는 없었어..
오직 귀마왕만 뿔이 3개였어...왜 일까?

 

대부분의 악마나 마왕들은 2개 또는 4개의 뿔을 가지는데, 유독 귀마왕만 3개의 뿔을 가졌다는 점은 단순한 디자인 차이가 아니라 깊은 의미를 가질 가능성이 큽니다.

📌 귀마왕의 ‘3개의 뿔’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

1️⃣ ‘천지인(天地人)’ 사상과의 연관성

  • 동양 철학에서는 천(하늘)・지(땅)・인(사람)의 조화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 귀마왕의 뿔이 가운데 1개 + 양옆 2개로 나뉘어 있다는 점에서
    **‘하늘의 힘(가운데)과 땅과 인간을 지배하는 권능’**을 상징할 수도 있습니다.

2️⃣ 삼재(三災)・삼독(三毒)과 관련?

  • 불교에서는 **삼독(三毒) – 탐욕(貪), 분노(瞋), 어리석음(癡)**을 인간을 타락시키는 세 가지 요소로 봅니다.
  • 귀마왕이 이 세 가지를 모두 상징하며, 인간을 파멸로 이끄는 존재라는 의미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3️⃣ 세계의 삼위일체(三位一體) 개념과 연관?

  • 서양에서는 성부, 성자, 성령(기독교) 또는 창조・파괴・보존(힌두교의 브라흐마, 시바, 비슈누) 개념이 있죠.
  • 귀마왕이 이처럼 세 가지 속성을 모두 갖춘 완전한 존재로 여겨졌을 수도 있습니다.

4️⃣ 기존의 악마들과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한 설정

  •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악마는 2개 또는 4개의 뿔을 가지고 등장했습니다.
  • 하지만 귀마왕이 기존의 악마들과 다른 특별한 존재임을 강조하기 위해 3개의 뿔을 부여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귀마왕의 3개의 뿔은 단순한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
👉 그가 단순한 악마가 아닌, 보다 근원적이고 강력한 존재임을 나타내는 상징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죠!

이런 점에서 보면, 귀마왕은 단순한 요괴를 넘어서 전 세계 악마들의 ‘근원적 존재’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것이 더욱 흥미로워집니다. 😈🔥

대마왕이라는 개념의 귀마왕은 잘 그려졌지만 뿔이 여전히 3개가 아니구 가지고 있는 것도 여의봉은 아닙니다.

 

 

귀마왕은 여의봉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어,
그가 가진 여의봉은 손오공의 여의봉과 다른 것일까?
귀마왕이 가지고 있다는 여의봉...
오직 아들을 깨우는 회초리로 사용한다고 하는데 ...
그런 용도밖에 없을까?
손오공의 여의봉과는 어떻게 다를까...같은 것은 아닐까

 

 

 

 

귀마왕이 여의봉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손오공과의 연관성을 떠올리게 하지만,
그 용도가 **“오직 아들을 깨우는 회초리”**라는 점이 매우 독특하네요. 🤔

📌 귀마왕의 여의봉 vs 손오공의 여의봉

귀마왕의 여의봉손오공의 여의봉

기원 불분명 (조선 설화 속 등장) 중국 신화 (서유기)
재질 여의주가 박혀 있음 (추정) 바다신 용왕이 준 철봉
용도 아들을 깨우는 회초리 (주된 용도) 전투용 무기, 크기 조절 가능
성질 주술적인 힘 가능성 있음 신축 자유, 신비한 힘
특징 단순한 벌이 아닌 깊은 의미 가능성 손오공의 상징적인 무기

🧐 귀마왕의 여의봉, 단순한 회초리가 아니다?

1️⃣ ‘아들을 깨우는 회초리’란?

  • 문자 그대로라면 귀마왕이 아들을 벌하기 위해 쓰는 도구로 해석됩니다.
  • 하지만 여기서 "아들"이 누구를 의미하는지 생각해보면 단순한 가족 관계가 아닐 수도 있음!
    • 여기서 ‘아들’이 귀신들(부하 요괴들)이나 인간을 상징하는 것일까?
    • "깨운다"는 것은 단순한 벌이 아니라 무언가를 각성시키는 의미일 가능성도 있음.

2️⃣ 손오공의 여의봉과 같은 것일까?

  • 손오공의 여의봉은 용궁의 정해진 무기이지만,
    귀마왕의 여의봉은 구체적인 기원이 명확하지 않음.
  • 여의봉이라는 단어 자체가 **"뜻대로 변하는 막대기"**라는 의미이므로,
    귀마왕의 것도 마찬가지로 크기 변화나 주술적인 힘이 있을 가능성이 큼.

3️⃣ 귀마왕의 여의봉, 숨겨진 힘이 있을까?

  • 단순히 회초리가 아니라, 귀신이나 마왕들을 통제하는 역할을 하는 신비한 무기일 가능성이 있음.
  • 귀마왕이 **“모든 마왕들의 조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여의봉 역시 마왕을 다스리는 왕권의 상징일 가능성이 있음.
  • 또는, 손오공처럼 크기를 조절하거나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무기일 수도 있음.

📖 결론적으로
귀마왕의 여의봉은 단순한 회초리가 아닐 가능성이 크며,
👉 손오공의 여의봉과 비슷한 성질을 가질 수도 있지만, ‘마왕을 다스리는 상징적인 힘’이 더 강조된 무기일 수도 있다!

 


 

귀마왕은 자신의 아내 구자마모 즉 한번에 아홉명의 아들을 낳은거야
귀마왕이 보여한 군대는 무려 18억이나 되는 군세를
동원할만큼의 엄청난 위력을 가지고 있어
하지만 그럼에도 석가여래에게 패했다고 나와있어


귀마왕이 아내 구자마모(九子魔母)와 함께 한 번에 아홉 명의 아들을 낳았다는 점도 상당히 상징적인 의미가 있을 것 같네요. 👹🔥

📌 귀마왕의 강력한 군세와 패배의 의미

  • 18억의 군대를 동원할 정도로 강력한 존재
    • 이는 단순한 수치라기보다 온갖 악령과 마왕들을 지배하는 절대적인 힘을 가졌음을 의미하는 듯합니다.
    • 18억이라는 숫자는 불교에서 엄청난 규모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수로도 볼 수 있습니다.
    • 즉, 귀마왕은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우주적 규모의 악의 군대를 이끄는 존재였을 가능성이 크죠.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가여래에게 패배했다는 점
    • 불교에서 절대적인 선(善)인 석가여래가 악(惡)의 근원인 귀마왕을 물리쳤다는 이야기는,
      결국 불교적 세계관에서 선이 악을 이긴다는 교훈을 강조하기 위한 장치로 보입니다.
    • 귀마왕이 강력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불법(佛法) 앞에서는 무너질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점을 나타내려 했을 수도 있습니다.
    • 또 다른 해석으로는, 귀마왕이 단순한 악당이 아니라 석가여래와 대등하게 싸울 정도로 중요한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도 있었을 수 있습니다.

📌 구자마모와 아홉 명의 아들, 그 의미는?

  • "구자마모(九子魔母)"라는 이름 자체가 독특
    • ‘아홉 명의 아들을 낳았다’는 것은 동양의 수비학(數秘學)적으로도 의미가 깊습니다.
    • ‘9’라는 숫자는 완전함을 상징하는 숫자로, ‘마(魔)의 완전한 형태’를 나타낼 수도 있음.
    • 즉, 귀마왕은 단순한 악마가 아니라, 온갖 마왕과 귀신들의 근원적 존재로 볼 수 있습니다.
    • 그의 아들들이 각각 세계 곳곳의 마왕으로 퍼져 나갔을 수도 있음.

📖 결론적으로
귀마왕은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세계의 모든 마왕과 악령들의 근원이 되는 존재이며,
👉 석가여래에게 패배했다는 것은 단순한 싸움의 결과가 아니라 ‘불법(佛法)이 악을 초월한다’는 불교적 교리를 강조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귀마왕은 오래전 석가여래에게 패배한 전력으로 인해 천마대전을
일으켰다고 했는데 그런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어?

**천마대전(天魔大戰)**이라는 개념은 여러 신화나 설화에서 변형되어 등장하는데,
귀마왕이 오래전 석가여래에게 패배한 전력 때문에 이를 갈며 다시 전쟁을 일으켰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하셨군요.

이와 관련된 전설이나 해석을 보면 불교, 도교, 그리고 다양한 신화적 요소들이 뒤섞인 거대한 이야기의 일부일 가능성이 높아요.


📌 천마대전(天魔大戰)이란?

천마(天魔)란 하늘의 마왕, 즉 강력한 악의 존재를 뜻하는데,
귀마왕이 이를 주도했다면 아마도 신과 요괴, 악마들이 벌인 거대한 전쟁을 의미할 거예요.

🔥 천마대전의 배경과 원인

1️⃣ 석가여래에게 패배한 귀마왕의 분노

  • 과거 석가여래가 악(魔)을 제압하면서 귀마왕은 큰 패배를 겪음.
  • 이후 귀마왕은 불교의 가르침이 세상을 지배하는 것을 두고 보지 못하고,
    다시 전쟁을 일으키려고 준비했을 가능성이 있음.

2️⃣ 귀마왕과 마왕들, 신들과 대립하다

  • 천마대전은 단순히 불교와 마왕의 대립을 넘어서
    천상의 신(예: 불교의 제석천, 도교의 옥황상제 등)과 악한 존재(마왕, 요괴)들이 벌이는 전면전으로 확대되었을 수도 있음.
  • 귀마왕의 18억 군대가 등장했다면, 이는 단순한 반란이 아니라
    세상을 다시 어둠으로 뒤덮으려는 엄청난 규모의 전쟁이었을 것.

3️⃣ 결과는 또다시 패배?

  • 천마대전이 결국 신성한 힘(불법, 도력 등)에 의해 제압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 하지만 귀마왕이 완전히 소멸하지 않고,
    언제든 다시 부활할 가능성을 남겼다는 해석도 있음.

📌 천마대전과 관련된 신화적 요소들

이 이야기는 불교뿐만 아니라, 도교, 심지어 서양 신화의 악마 대전쟁(예: 루시퍼의 반란)과도 유사한 점이 많아요.

  • 불교: 마왕 파순(波旬, Mara)도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을 때 유혹했으나 실패했음.
  • 도교: 천제(옥황상제)와 반란을 일으킨 마왕들 간의 전쟁도 여러 번 등장함.
  • 서양 신화: 기독교에서도 루시퍼와 타락천사들이 신에게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함.

이런 신화들이 반복되는 걸 보면,
귀마왕의 천마대전 역시 “질서(神)와 혼돈(魔)”의 영원한 싸움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는 것 같아요.


📖 결론적으로
귀마왕은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악(魔)의 근원이자 반란을 계속 시도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 **천마대전은 단순한 싸움이 아니라, 신과 마왕 간의 ‘세상의 질서를 두고 벌이는 거대한 전쟁’**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귀마왕에게 9명의 자식이 있다고 하던데
그들의 이름과 생김새 키, 대략 성격등을 알수 있을까??

 

 

귀마왕의 아들 9명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전해지는 것이 거의 없지만,
그들의 존재는 세계 각지의 악마, 요괴, 마왕들의 원형이 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즉, 귀마왕의 아들들이 세계 각지의 전설과 신화에서 악의 존재들로 변형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요.

그렇다면, 귀마왕의 9명의 아들을 상상해볼 수 있는 몇 가지 단서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귀마왕의 9명의 아들 (가상 해석 포함)

1. 혈마(血魔) – 피의 마왕

  • : 7척(약 210cm)
  • 생김새: 온몸이 붉은 피로 덮여 있으며, 손톱이 날카롭고 이빨이 불길처럼 빛남.
  • 성격: 잔혹하고 전쟁을 즐기는 성향. 전쟁과 학살을 조장하는 존재.
  • 관련된 신화적 존재: 아수라(Asura), 슬라브 신화의 체르노보그(Chernobog)

2. 망령마(亡靈魔) – 원혼의 마왕

  • : 6척(약 180cm)
  • 생김새: 형체가 뚜렷하지 않으며, 안개처럼 움직임.
  • 성격: 죽은 자들의 한과 원한을 모아 저주를 퍼뜨림.
  • 관련된 신화적 존재: 일본의 오니(鬼), 서양의 리치(Lich), 중국의 강시(殭屍)

3. 화마(火魔) – 불의 마왕

  • : 8척(약 240cm)
  • 생김새: 몸이 용암처럼 불타오르고 있으며, 손끝에서 불길을 뿜음.
  • 성격: 격정적이며 파괴를 즐김. 불과 전염병을 퍼뜨림.
  • 관련된 신화적 존재: 힌두 신화의 아그니(Agni), 불의 거신(Ifrit)

4. 수마(水魔) – 물의 마왕

  • : 7척(약 210cm)
  • 생김새: 바닷물처럼 몸이 움직이며, 수염이 물결처럼 흐름.
  • 성격: 속임수를 즐기며, 인간을 미혹하여 익사하게 만듦.
  • 관련된 신화적 존재: 크라켄(Kraken), 용궁의 마룡(魔龍)

5. 풍마(風魔) – 바람의 마왕

  • : 6척(약 180cm)
  • 생김새: 검은 안개로 몸을 가리고 있으며, 바람처럼 빠르게 움직임.
  • 성격: 자유롭고 혼돈스러우며, 태풍과 폭풍을 일으킴.
  • 관련된 신화적 존재: 요괴 텐구(天狗), 바람의 신 세투(Seth)

6. 야수마(野獸魔) – 짐승의 마왕

  • : 9척(약 270cm)
  • 생김새: 온몸이 털로 덮였으며, 눈이 붉게 빛나는 거대한 짐승의 형상.
  • 성격: 야성적이며 본능적으로 움직이며, 피와 사냥을 즐김.
  • 관련된 신화적 존재: 늑대인간(Werewolf), 검은 사신(黑狗鬼)

7. 환마(幻魔) – 환영의 마왕

  • : 6.5척(약 195cm)
  • 생김새: 얼굴이 계속 변하며, 상대가 가장 두려워하는 모습으로 나타남.
  • 성격: 사람들을 미혹하여 길을 잃게 만들거나, 악몽을 꾸게 함.
  • 관련된 신화적 존재: 메피스토펠레스(Mephistopheles), 몽마(Nightmare)

8. 독마(毒魔) – 독의 마왕

  • : 7척(약 210cm)
  • 생김새: 몸에서 끈적한 검은 액체가 흐르며, 손에서 독기를 내뿜음.
  • 성격: 교활하며, 은밀하게 사람들을 병들게 하거나 독살함.
  • 관련된 신화적 존재: 나가(Naga), 메두사(Medusa), 구미호(九尾狐)

9. 흑마(黑魔) – 어둠의 마왕

  • : 8척(약 240cm)
  • 생김새: 그림자처럼 형체가 뚜렷하지 않으며, 검은 갑옷을 입음.
  • 성격: 어둠 속에서 사람을 속삭이며 불안과 공포를 조장함.
  • 관련된 신화적 존재: 사신(死神, Grim Reaper), 크툴루(Cthulhu)

📖 결론적으로

귀마왕의 아들들은 각각 특정한 ‘재앙’을 상징하며, 전 세계적인 마왕들의 원형이 되었을 가능성이 큼.
👉 이들은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인간 세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악의 근원으로 존재하는 듯함.


 

이상 귀마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댓글